목차
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고 나면 투기지역, 투기과열지구, 조정대상지역 이라는 단어가 자주 보입니다.
어디가 투기지역으로 묶였다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이 되었다 등의 말을 들으면 자주 바뀌는 것 같아 늘 혼란스럽죠.
글을 쓰는 현시점의 위 3가지의 지정현황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표에 보시면 괄호안에 지정된 날짜가 표기되어 있는데 꾸준히 지정 및 해제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제가 살고 있는 광명은 18.8.28에 투기과열지구로 지정이 되었네요. 오메..
부산진, 남, 연제, 기장(일광면)은 지정해제가 되기도 했습니다.
투기지역
기획재정부에서 지정하는 지역입니다.
기획재정부 홈페이지로 이동해서 법령 -> 공시/공고/지침을 클릭합니다.
공고를 클릭하시고 검색란에 지정지역 이라고 입력합니다. (참고로 투기지역을 주택지정지역이라고 합니다.)
그러면 검색결과에서 부동산에 대한 지정지역 공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보시면 2017.08.03에 올라온 공고가 마지막인데 최신 공고는 올라오지 않은 것 같습니다.
이런 자료는 확실하게 공고를 해주어야 할 것 같은데 누락이 되어 있어서 아쉽네요.
투기과열지역, 조정대상지역
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하는 지역입니다.
국토교통부 홈페이지로 이동해서 정책자료 -> 행정규칙(훈령/예규/고시)를 클릭합니다.
검색란에 투기과열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결과가 나옵니다.
날짜에 따라 투기과열지구가 지정/해제 되는 이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조정대상지역도 마찬가지로 조정대상을 입력하고 검색하시면 됩니다.
지금까지 투기지역, 투기과열지구, 조정대상지역의 현황 및 확인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.
여러분의 공감과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:) 감사합니다!
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정리 (0) | 2020.03.22 |
---|---|
법무통으로 부동산 소유권 등기이전 싸게 견적 받는 방법 (0) | 2020.02.23 |
부동산 종부세 계산 및 조회/납부 방법 (1) | 2019.12.17 |
분양가 상한제란? 전매제한이란? (0) | 2019.09.09 |
주택담보대출 비율 LTV, DTI, 신 DTI, DSR 용어 정리 (0) | 2019.09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