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알아보다보면 요즘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.
LTV, DTI, 신DTI, DSR 등 용어가 생소하기도 하고 너무 많아 매번 헷갈립니다.
정부가 무분별한 부동산 가격상승을 규제하기 위해 이것저것 만든 제도들인데요 이번 기회에 용어 정리를 해보았습니다.
=> 주택담보대출비율
부동산 자산의 가치 대비 대출이 가능한 비율을 말합니다. 새집을 살 때 전액 현금으로 구매를 하는 분들은 많지 않습니다. 보통 보유한 현금과 부족한 부분은 부동산 담보로 대출을 받아 금액을 맞추어 집을 구매하게 됩니다. 이때 LTV를 적용한다면 부동산 물건의 담보로 대출가능한 금액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.
예)
아파트 매매가가 5억
LTV가 50%이면
2억 5천만원(5억 * 0.5)을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.
=> 총부채상환비율
연소득 대비 연간 지출하는 대출 원리금(원금 + 이자)의 비율을 말합니다. 원리금에는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+ 기존 주택담보대출의 이자 + 기타 대출의 이자를 포함합니다. 대출자의 소득을 따져서 대출 한도를 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써 정부에서 정한 DTI 비율을 넘는 금액은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지 않습니다.
예)
나의 연소득이 5천만원
DTI가 40%이면
연간 지출하는 원리금(신규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+ 기존 주택담보대출의 이자 + 기타 대출이자)이 2천만원(5천만원 * 0.4)을 넘지 못하게 대출제한을 받습니다.
연소득 대비 모든 부동산 담보대출의 원리금을 합한금액의 비율을 말합니다. 원리금에는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+ 기존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+ 기타 대출의 이자를 포함합니다. 기존 DTI와 다른점은 기존 주택담보대출에 지불하는 원금이 포함된다는 점입니다. 연간 소득정보는 2년안에 증빙자료 확인을 해야하고 제출하지 않을 시 인정소득과 신고소득을 각각 95%, 90%로 차감 반영 합니다.
예)
나의 연소득이 5천만원
신DTI가 40%이면
연간 지출하는 원리금(모든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+ 기타 대출이자)이 2천만원(5천만원 * 0.4)을 넘지 못하게 대출제한을 받습니다.
=>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
연소득 대비 전체 대출 원리금(원금 + 이자)의 비율을 말합니다. 전체 대출 원리금에는 신용대출, 카드 할부, 마이너스 통장, 학자금 대출, 자동차 할부 등 모든 금융 부채가 포함이 됩니다. 기존에 대출이 있는 사람들이 DSR을 적용받으면 추가 대출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
예)
나의 연소득이 5천만원
1년동안 갚는 모든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이 2천만원이면
현재 DSR은 40%이고
DSR의 한도가 60%라면 연간 1천만원의 원리금을 추가로 상환할만큼의 추가 대출이 가능합니다.
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정리 (0) | 2020.03.22 |
---|---|
법무통으로 부동산 소유권 등기이전 싸게 견적 받는 방법 (0) | 2020.02.23 |
부동산 종부세 계산 및 조회/납부 방법 (1) | 2019.12.17 |
분양가 상한제란? 전매제한이란? (0) | 2019.09.09 |
투기지역, 투기과열지구, 조정대상지역 지정현황 및 알아보는 방법 (2) | 2019.09.08 |